1. 영어 어순으로 바꾸는 습관
어순감각과 뉴앙스를 위해..
우리말을 영어 어순으로 배열.
1) 김기호는 사과를 좋아한다.
--> 김기호는 좋아한다 사과를
--> 김기호 likes an apple.
2) 영희가 사랑하는 김기호는 사과를 좋아한다.
--> 김기호는 ( 영희가 사랑하는 ) 좋아한다 사과를
--> 김기호 (who 영희 loves) likes an apple.
3) 영희가 사랑하는 김기호는 엄마가 사준 사과를 좋아한다.
--> 김기호는 (영희가 사랑하는) 좋아한다 사과를 (엄마가 사준)
--> 김기호 who 영희 loves likes an apple that his mom bought.
4) 영희가 사랑하는 김기호는 새우깡을 싫어하는 엄마가 사준 사과를 좋아한다.
--> 김기호는 ( 영희가 사랑하는 ) 좋아한다 사과를 [엄마가 (싫어하는 새우깡을) 사준]
--> 김기호 who 영희 loves likes an apple that his mom who hates 새우깡 bought.
5) 영희가 사랑하는 김기호는 책상 위에 있는 새우깡을 싫어하는 엄마가 사준 사과를 좋아한다.
--> 김기호는 (영희가 사랑하는) 좋아한다 사과를 { 엄마가 [ 싫어하는 새우깡을 (위에 있는 책상)] 사준}
--> 김기호 who 영희 loves likes an apple that his mom who hates 새우깡 on the desk bought.
2. 모든 문장이 단순한 구조에서 시작하여 길어진다.
주어는 한다. 뭐를 : 주어 + 동사 + (목적어)
--> 완전한 문장.
완전한 문장에 떨거지들이 붙어서 길어진다.
절 : 마디. 완전한 하나의 독립된 문장을 위한 최소단위. 완전한 문장.
1) S + V + O 형태
- 철수는 그의 코를 후볐다. (국어어순)
- 철수는 후볐다 그의 코를 (영어어순)
- 철수 picked his nose
2) S + V 형태
- 영희는 넘어졌다. (국어어순)
- 영희는 넘어졌다. (영어어순)
- 영희 tripped.
3) 그 외 1),2)으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
- He is Tom.
- 그는 탐이다.
: 완전한 문장이 될려면 최소 S +V로 끝나야 하는데 He is.로 하면 말이 안된다.
- That girl is beautiful.
-그 아가씨는 예쁘다. (예쁜 상태이다.)
: That girl is. 로는 말이 안된다.
- The book is on the desk.
- 그책은 책상위에 있다.
S + BE동사 + ?
be동사의 해석은 뒤에 뭐가 오냐에 따라 결정된다.
1) ~이다. ~ 상태이다. : 명사,형용사
2) ~에 있다. : 전치사,장소부사
부사 (副) : 보조하는 글. 강조의 역할. 없어도 상관없음.
문장의 뉴앙스를 강하게 하거나 의미를 첨가함.
3. 영어의 어순을 안다는 것은 뒤에 뭐가 올지 미리 안다는 것.
- 차례대로 , 앞에서 부터 해석
- 문장 해석 시
1) [ 주어가 ~ 한다 ] 라고 해석
2) < 뭘하는데? >라는 질문이 오면서 목적어를 불러오면 순서대로 갈수 있다.
- 절은 문장을 이루는 최소한의 구성형태. 앞에 나올것이 뒤에 나올것을 지배한다.